top of page

드러나지 않은 구석에서 화면으로:

재현(하기)의 원천에 문지방으로 서기                                                                                                    

/콘노 유키 (미술비평가, 기획자)

윤미류 개인전 《Not Walking at a Consistent Pace》 서문
(2021.04.27-05.05, Plan C, 전주)

그림이 재현적일 때, 즉 어떤 대상을 닮도록 그릴 때, 우리는 그 그림이 모든 것을 드러낸다고 인식한다. 물감 덩어리나 색의 조합, 붓질이 아니라 어떤 사물이나 인간, 장면으로 먼저 인식될 때, 감상자가 그림을 궁금해하는 태도는 거의 해결된다. 재현적인 그림의 반대, 즉 추상적인 그림을 볼 때면 감상자는 다음과 같은 궁금증을 갖게 마련이다. 이 그림은 무엇을 그렸고, 어떻게 그렇게 표현되었는지 등등. 추상적인 그림을 보고 떠올릴 수 있는 질문은 작품에 드러나지 않는 구석이 도대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던져진다. 그림에 드러나지 않는 것들―적어도 감상자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소재지는 작가의 머릿속이나 의도, 그리고 마음이다. 이 대상들은 그곳에서 다른 형식으로 시각화되면서 재현의 다른 방식을 선택한 결과일 뿐 표현되지 않거나 못하는 것이 아니다. 추상적인 그림은 해석과 설명을 통해서 앞선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

추상화와 대조적으로, 감상자가 재현적인 그림을 보는 경우 작품을 궁금해하는 구석은 많지 않다. 이미 많은 것들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 그것이 재현적인 그림의 특징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데도 우리가 재현된 대상을 다 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추상화를 보고 던지는 ‘막연한’ 질문 못지않게 우리는 재현적인 그림에 ‘구체적인’ 대답을 물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그린 곳이 어느 지역이고, 화면 가운데 서 있는 사람은 누구이며, 이들은 그곳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 등등. 이름 주어지지 않은, 즉 대상―사람, 장소, 이 둘을 포함한 장면 등―에 대한 정보가 화면 속에서 주어지지 않은 상태는 재현적인 그림이 ‘그런데도’ 모든 것을 노출하지 않는다는 점을 포착한다. 그림은 한편으로 이미지를 노출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보를 단편화한다. 이 특성 때문에 추상적인 그림과 재현적인 그림은 공통적으로 묶일 뿐만 아니라 각각 다른 결과로 향하게 된다. 내면에서 떠나보낸 감각은 특정 장면 못지않게 시각적으로 도착하고, 사실적으로 기록된 특정 인물은 시각의 저편에 물러선 감정 못지않게 그에 대한 정보를 뒤로 숨는다.

윤미류의 이번 개인전에서 소개된 작품의 성격은 재현적이다. 작가는 주로 어떤 인물이 등장하는 장면을 그리는데, 대상은 감상자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구도와 표현으로 나타난다. 앞서 꺼낸 “이들은 누구이고, 어떤 장면일까” 물어보는 질문은 윤미류의 작품에 던져볼 수 있다. 작품 속에서 이들의 이름은 물론, 장소, 행위까지 익명화된 장면으로 출현한다. 구체적인 시각 표현, 즉 상이 무엇을 시각적으로 지시하는지 명료한 경우에, 익명화된 장면은 재현적인 성격 탓에 어떤 서사를 오히려 불러일으킨다. 예컨대 “... 어느 날 눈 내리는 그곳에 서 있던 그는...” “... 그는 앉아 있다가 손을 뻗어…”처럼, 감상자는 작품 속에 고정되어 포착된 순간을 어떤 흐름으로 전개하려고 한다. 이번 전시의 경우는 삶이라는 전체의 어느 순간이 화면에 담겼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작품을 서사로 이해하게 되면 재현적인 그림의 ‘재현’의 기준에 암묵적으로 내포된 ‘사실’ 또는 ‘실제’의 기준이 모호해진다. 서사는 있는 그대로의 장면뿐만 아니라 지시를 받은 행위, 즉 상연이나 의도적 연출의 결과를 작품이라는 무대에 동시에 세워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재현의 척도로 삼은 ‘사실’과 ‘실제’는 ‘시각 정보의 정확성’이라는 의미가 된다.

시각 정보의 정확성은 모사의 충실함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익명화된 장면 배후에 물러선 서사의 두께를 강화한다. 그림에서 판별 불가능한, 배후에 물러선 정보―시각 정보, 대상에 대한 특정 정보, 허구와 실제의 구별―는 서사를 통해서 이미지의 원천을 다양화한다. 그러기에 화면에 노출되지 않고 드러나지 않은 구석은 결코 ‘한구석’에 몰린 위치와 처지가 아니다. 윤미류의 작품이―적어도 감상자가 볼 때―재현적이라면 모습을 다시 드러낸, 그러나 그 모습은 앞서 살펴본 정보를 판별하는 일을 잠시 보류하면서 출현한다는 넓은 의미의 재현 즉 ‘모습이 재차 드러남’이다. 넓은 의미의 재현은 그의 (‘재현적인’) 작품에서 시각화된 다른 결과를 동시에 보여준다. 화면-화폭 크기에 맞게 인물이 그려진 <Snowstorm I>(2021)이 화면 속으로 즉 깊이감 있는 (환영적) 공간과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하얀 캔버스 화면 자체를 오가는 것처럼 보이고, <Encounter>(2020)가 붓질로 재현된 인물과 붓질 자체에 가까운 장식적인 무늬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보일 때, 작품은 재현적 표현을 통해서 재현(하기)을 탐구하는 공간이 된다. 재현적 표현은 그림에 드러나지 않은 구석을 시각적으로―그림에서, 마음 속으로, 그리고 실제로―다르게 내보내는 이미지의 원천(들)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From an Unrevealed Corner to the Surface of Canvas:

Standing as a Threshold to the Source of Representation (Representing)   

                                                              

/Yuki Konno (Art Critic, Independent Curator)

Exhibition Foreword for 《Not Walking at a Consistent Pace》
(2021.04.27-05.05, Plan C, Jeonju)

When a painting is representational, that is, when it is drawn to resemble a specific object, we recognize that the painting reveals all that there is to be revealed about that object. When the subject of the painting is first recognized not just as a mass of paints, a combination of colors, or brushstrokes but as an object, a human figure, or a scene, the viewer’s curiosity about the painting is almost satiated. When looking at abstract painting, which is in many ways the opposite of a representational painting, the viewer is bound to be curious about its subject and method of expression. Questions that arise upon viewing an abstract painting stem from the fact that not everything is revealed at first glance. The whereabouts of the things that are not apparent in the painting—at least those that are not visible to the viewer’s eyes—exist within the artist’s head, her intention, or mind. These objects are only the result of choosing a different way of representation while being visualized in a different form within but are by no means unexpressed or inexpressible.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an abstract painting can answer the above questions.

 

In contrast to abstract paintings, few representational paintings inspire lingering curiosity or leave unanswered questions. A state in which many things are already laid bare—it may be said that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representational painting. But even so, it cannot be concluded that we know all of the objects that have been represented in such a work. This is because we can ask ‘a specific question’ regarding a representational painting as much as the ‘vague’ questions we ask an abstract painting: ‘where is the place painted’, ‘who is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canvas’, ‘what are they doing there?’, and so on. An unnamed state, the state in which information about an object—a person, a place, and a scene that depicts these two, etc.—is not given in the canvas captures the fact that ‘nevertheless’ a representational painting does not expose everything. Paintings expose images on the one hand, but they fragment information on the other. Due to this characteristic, abstract paintings and representational paintings are not only tied together, but also diverge into different outcomes. Senses that depart from within, arrive visually like a specific scene. A specific person portrayed realistically hides behind information about that person much like an emotion that has retreated out of sight.  

 

A characteristic of the works showcased in this solo exhibition of Miryu Yoon is that they are representational. She draws scenes in which a human figure appears, and the object appears in a composition and expression that is recognizable by the viewers. The questions of, ‘who are these people’ and ‘what kind of scenes are these’ that we mentioned earlier can be asked about Miryu Yoon's works. Their names, places, and actions appear as anonymized scenes in the works. When it is clear what the image visually indicates, the anonymized scene rather evokes a narrative due to its representational nature. For instance, like the thought,’...one day he was standing in a snowy place...’ or ‘...he sat down and reached out...’, the viewer tries to unfold the moment captured in the work with a certain narrative line. In the case of this exhibition, it can be said that certain moments in the whole of life were captured on the canvas. However, when a work is understood as a narrative, the criterion of ‘fact’ or ‘real’ tacitly implied in the criterion of ‘representation’ of a representational painting becomes ambiguous. This is because a narrative can simultaneously set up not only the scene as it is, but also the act of being directed, that is, the outcome of a performance or intentional direction. As a result, ‘fact’ and ‘real’ used as the measure of representation refer to ‘the accuracy of visual information’.

 

The accuracy of visual information not only reinforces the fidelity of the copy, but also reinforces the thickness of the narrative that stands behind the anonymized scene. Information that is indiscernible in the painting, which is behind the scene—visual information, specific information about object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fiction and reality—diversifies the source of images through the narrative. Therefore, the portion that is not exposed nor revealed on the surface of canvas is never the position and circumstance that are driven to ‘one corner’. If Miryu Yoon’s work—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ewer—is representational, it is a representation that shows itself again, but the appearance is a representation in the broad sense that it appears while suspending the task of discriminating information previously examined. It is the ‘re-appearance’. Representation in a broad sense simultaneously shows different results visualized in her (‘representational’) works. When Snowstorm I (2021), in which a person is drawn to fit the size of the canvas, seems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deep space and the blank white canvas itself, and Encounter (2020) shows a human figure represented by brushstrokes and decorative patterns similar to the brushstrokes themselves on the same canvas at the same time, the works become a space to explore representation through representational expression. Representational expression appears on the canvas as the source(s) of the images that are visually in the painting, in the mind, and in reality—differently sent the corner, which is not revealed in the painting, differently in visual terms.

bottom of page